국내 무역업체 10곳 중 8곳은 향후 남북교역이 재개될 시 대북사업에 참여할 생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남북교역에 대한 무역업계의 인식 조사’에 따르면 남북교역이 재개될 경우 대북사업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는 반응을 보인 기업은 80.0%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1천176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이들이 참여하고 싶은 이유는 ‘일반교역 등 새로운 사업기회 모색’(36.1%)를 비롯해 ‘저임금 노동력 활용’(25.1%)ㆍ‘도로, 전기 등 사회간접시설 개발 관련 사업 참여’(12.5%)ㆍ‘동북 3성 등 인접 시장 진출 개선’(11.7%) 등으로 나타났다.
유망사업 분야는 ‘인프라ㆍ건설ㆍ자원’(35.1%)이 가장 많았고 ‘전기ㆍ전자ㆍ통신ㆍ기계’(17.3%)ㆍ‘관광’(15.3%) 등이 뒤를 이었다. 희망 사업 형태는 ‘일반교역’(35.3%)ㆍ‘위탁가공’(24.0%)ㆍ‘개성공단 등 경제특구 진출’(15.5%)ㆍ‘경제특구 외 북한지역에 대한 내륙투자’(12.6%) 등이었다.
기업들은 민간 중심의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지속 가능하고 안정적인 남북교역 여건 조성’(34.6%)과 ‘국제사회와의 공감대 형성 및 대북사업 협력’(15.8%)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남북관계 개선이 사업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85.1%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기업은 그 이유로 ‘대북 사업기회 창출’(39.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남북 도로와 철도 연결을 통한 동북아 물류 활용’(23.2%)ㆍ‘정부의 대북 지원사업 활용’(19.3%)ㆍ‘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15.5%) 등이 뒤를 이었다.
민간기업 중심의 남북교역 재개 시기에 대해서는 4~5년 내(31.7%)로 예상한 기업이 가장 많았지만 올해(9.6%)와 내년(22.3%) 등 더 빨리 시작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무역협회는 기업들의 대북사업 어려움 개선, 남북교역 활성화를 위한 조사·연구 등을 수행하기 위한 ‘남북교역지원센터’를 최근 신설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