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해외원화결제 사전차단시스템’ 7월 4일 오픈 예정
[서울=경기일보/민현배 기자] 카드의 해외원화결제를 사전 차단할 수 있는 서비스가 여름휴가 직전부터 시행된다. 해외원화결제시 해외 DCC 업체 수수료는 827억~2천206억 원 추정되는데 서비스가 활성화하면 고객의 수수료 부담이 줄 것으로 예상한다.
금융감독원은 카드업계와 함께 해외원화결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작업을 그동안 진행해왔으며 여름 휴가철 직전인 7월 4일 ‘해외원화결제 사전차단시스템’을 오픈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해외원화결제를 원치 않는 소비자는 카드사의 홈페이지, 콜센터, 모바일 앱 등을 통해 사전차단 신청이 가능하다. 서비스 재이용을 원하면 간편하게 변경할 수도 있다.
해외원화결제서비스(Dynamic Conversion Currency, DCC)는 해외가맹점 등에서 현지 통화가 아닌 원화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해외 DCC 전문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다.
실시간으로 환율을 알 수 없던 과거에는 이 서비스가 유용했으나 스마트폰이 일반화된 최근에는 고객의 수수료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외원화결제시 추가 수수료는 3~8% 선이며 이 금액을 소비자가 고스란히 부담해 왔다.
가령, 미화 1달러가 1천100원일 때 100달러짜리 지갑을 카드로 결제했다면 DCC 결제를 적용했을 때와 안 했을 때의 차이가 크다.
DCC로 결제하면 1달러 당 수수료 40원(가정)이 적용되면서 11만4천 원 즉 104달러의 전표매입이 청구된다.
반면, DCC를 미적용하면 100달러 그대로 국내 카드사에 청구되고 그만큼 소비자의 수수료 부담이 줄게 된다.
지난해 DCC 금액은 3조 원에 육박하면서 수수료 액수도 만만치 않았다. 2017년 전업 카드사들의 해외이용 건수는 1억4천62만 건, DCC 건수(비중)는 1천5백58만 건(11.1%)이다. 해외이용금액은 15조623억 원, DCC 금액(비중)은 2조7천577억 원(18.3%)이다.
같은 기간, 해외 DCC 전문업체가 지난해 가져간 수수료는 827억(3%)~2천206억 원(8%)으로 추정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은 올가을 오픈 목표였으나 카드사들의 협조가 있어 여름 휴가 직전으로 앞당길 수 있었다”라며 “사전차단 신청이 많을수록 불필요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사전차단시스템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해외 카드이용 소비자의 불필요한 수수료 부담이 많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청률을 40%로 잡으면 약 331억 원이 절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금감원은 해외원화결제 차단서비스 시행 이후에도 소비자가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