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최근 기후 변화 및 교통의 발달, 해외여행 증가 등으로 다양한 감염병이 발생함에 따라 ‘감염병 감시 현장 대응반’ 운영을 확대한다.
경기도는 이달부터 도내 전 지역을 8개 권역으로 나눠 법정 감염병 이중 감시 및 신속 대응을 위한 ‘현장 책임반’을 편성하고, ‘일일감시상황판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법정감염병 관리는 국가 관리 체계에 따라 기존 4개 권역으로 나눠 추진하고 있으나 경기도 자체적으로 감염병 감시 및 유행확산 조기 파악 등 예방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운영을 확대한다.
현장 책임반은 도 및 시ㆍ군 44개 보건소-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으로 합동 편성된 감시활동 및 역학조사반 체제로 24시간 연중 운영된다. 감염병 비특이적 발생 및 해외유입 감염병 등의 발생 시 신속히 현장에 조사반이 투입돼 시ㆍ군 역학조사 지원 및 초기 감염병 유행확산을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현장 책임반은 ▲감염병 발생ㆍ유행 이중 감시(도+지원단, 시ㆍ군) ▲도 감염병관련 데이터구축을 통한 유행사례 예측 ▲영상회의 등을 통한 시ㆍ군 상시 소통채널 마련 ▲감염병 현장지원 등의 역할도 수행한다.
특히,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홈페이지 커뮤니티에 장착된 ‘일일상황판 시스템(가칭)’은 도와 시ㆍ군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능으로 법정감염병 종류 및 발생빈도, 유행 등 특이동향 등을 파악하고 분석해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 밖에도 도 감염병관리지원단에서는 현장책임반을 통한 감시, 역학조사, 시군 현장지원 등의 과정에서 축적된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시ㆍ군별 보다 구체적인 ‘감염병 통계 구축 및 유행사례 분석’ 등의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감염병은 상시예방 및 감시활동이 가장 중요한 만큼 경기도 현장책임반의 이중 감시를 통해 지자체의 감염병 대응 능력이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