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농업기술원은 18일 도농기원 소득자원연구소에서 인삼뿌리썩음병 연작 피해 해결을 위해 전문가, 공무원 등 34명이 참가한 가운데 ‘인삼뿌리썩음병원균 밀도진단기술 시연회’를 열었다.
이날 시연회는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기술에 대한 이론 교육과 인삼뿌리썩음병 원인균 밀도진단을 위한 검량 기술 실습, 결과 분석 및 기술 확대보급을 위한 토의가 진행됐다.
앞서 도 농기원 소득자원연구소가 2017년 연천과 파주지역의 200여 필지 4~5년생을 대상으로 인삼뿌리썩음병 발병률과 실린드로카폰ㆍ푸사리움의 밀도진단을 한 결과, 토양 1g당 1포자 이상의 밀도를 보인 인삼밭은 16%, 나머지 인삼밭은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인삼뿌리썩음병은 토양 1g당 100포자 이상일 경우 발병이 되지만, 토양 1g당 99포자 이하에서는 발병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농기원은 이날 시료채취, 병원균분리, 핵산추출 등의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기술을 시연했다.
한편, 도농기원은 지난 2015년 인삼밭 토양 내의 인삼뿌리썩음병 밀도진단을 위해 ㈜코젠바이오텍과 공동연구를 추진해 2016년에 진단기술을 개발했다. 이어 2017년 농가 실증 연구를 통해 효율성을 검정한 후 같은 해 8월에 특허출원을 완료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