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이후 야권이 선거 참패 후폭풍에 휩싸이면서 6월 임시국회가 본회의 한 번 열지 못한 채 회기를 종료할 위기에 처했다.
여야는 지난달 29일 정세균 전 국회의장이 퇴임한 이후 사실상 원내 현안에서 손을 뗀 지 오래다. 이번 선거에서 승리한 여당의 지도부가 후반기 원구성 협상을 재촉하고 있지만 협상의 한 축인 야권에서는 선거 참패의 여파로 지도부가 총사퇴하는 등 심각한 홍역을 치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이 남북·북미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추진하는 판문점선언 지지결의안과 조만간 국회에 제출되는 민갑룡 경찰청장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국회 후반기 원 구성은 이 모든 현안의 선결 조건이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인천 부평을)는 1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제헌절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면서 “민주주의와 국민 주권의 기틀을 세운 뜻깊은 날까지도 국회가 정상화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밝혔다. 홍 원내대표는 이어 “자유한국당에 어려움이 있지만 국회 정상화는 또 다른 문제”라며 “국회가 풀어야 할 숙제가 쌓여있기 때문에 국회 지도부 공백이 더 지속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도 국회 정상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 민주당 추미애 대표를 만나 “입법부 공백 상태가 해소될 수 있도록 후반기 원구성이 조속히 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평화당 조배숙 대표도 같은 날 최고위원·국회의원 연석회의에서 “민생을 논의하기 위해 국회 원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며 “한국당은 판문점선언 지지 결의안 처리에도 자발적으로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내홍을 겪고 있는 한국당이 서둘러 원구성 협상의 테이블에 나오더라도 여야 간 의장단 선출과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에 대한 이견차로 협상 과정에서 진통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국회의장을 비롯해 국회 운영위원장과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지원할 수 있는 주요 상임위원장직을 요구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한국당은 운영위원장 등에 대한 사수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바른미래당과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 역시 국회 부의장직 1자리를 노리고 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