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재원 바탕으로 특례보증 만기연장 등 계획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금융위원회가 장기간 어려움을 겪는 조선업 관련 업체들을 지원할 방침이다.
금융위원회 최종구 위원장은 20일 부산 조선기자재 업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하고 지원 방침을 밝혔다.
최 위원장은 “조선업의 어려움이 장기간 지속하고 있어 정부는 특별한 관심을 두고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라며 “특히 추경 재원을 바탕으로 조선 기자재 업체에 대해 지역에 제한 없이 특례보증과 만기연장을 광범위하게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조선·해운업체가 밀집한 부산, 거제(통영 병행관리), 창원, 울산, 목포에 산은, 기은, 신·기보 상주 인력을 파견해 금융 애로를 상담·지원하는 현장 반을 운영할 계획이다.
정부는 그동안 군산 등 전북 지역의 현대중공업 협력업체와 통영 등 경남 지역의 성동조선 협력업체에 특례보증과 대출 만기연장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추가경정예산 재원을 바탕으로 이들 지역 외의 조선 기자재 업체에도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국내 조선 기자재 업체들이 친환경 선박설비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국내 선사들의 친환경 선박설비 설치 지원자금도 늘릴 계획이다.
최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2020년부터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 연료 황산화물배출 규제가 강화될 예정이며 이로 인해 50조∼60조 원의 글로벌 탈황장치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신성장 분야를 돕고자 각각 12조 원, 2조 원의 저리 자금을 배정하고 있다. 이 자금을 친환경 선박설비 설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필요하면 공급 규모를 늘리겠다는 의미다.
최 위원장은 “민간은행들의 친환경 선박설비 설치자금 취급 확대를 유도하고자 해수부 등 관계부처·기관과 협의, 효과적인 선박금융 보증체계를 구축하겠다”라며 “조선업 시황이 회복 기조로 전환됐지만 1∼2년간은 협력업체의 어려움이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국내 조선업은 연비 효율성, 품질, 기술 등의 측면에서 근원적인 경쟁력이 있어 어려운 시기를 버텨내면 다시 부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