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남북경협시대 열리면 남·북·러 3각 협력 주축”

방러 앞두고 러 취재단 인터뷰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평화체제
푸틴 대통령과 일관된 같은 목표” 우선 사업 철도·가스·전기 제시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한반도의 평화체제가 구축되면 그때부터는 본격적인 남북 경제 협력 시대가 열릴 텐데, 그때의 남북 경제 협력은 러시아까지 함께하는 남북러 3각 협력이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러시아 국빈방문 전날인 이날 청와대 본관에서 러시아 합동 취재단과 인터뷰를 갖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나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또 평화체제 구축에 대해서 같은 목표를 갖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상황이 오늘에 이르기까지 푸틴 대통령이 일관되게 많은 도움을 줬다”며 “유엔 안보리의 강도 높은 제재 결의에 동참하고, 또 그 제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면서 평화적인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일관되게 주장함으로써 오늘의 상황을 잘 이끌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남북러 3각 협력이 빠르게 시작될 수 있는 사업으로 철도, 가스, 전기 분야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철도는 남북 철도가 연결되고, 그 연결된 남북 철도가 러시아 시베리아 철도와 연결이 된다면 우리 한국으로부터 유럽까지 철도를 통한 물류 이동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그것은 북한에도 큰 경제적 이익이 되고, 우리 한국에도 엄청난 이득을 주게 된다. 

물론 러시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뿐만 아니라 러시아 가스의 경우에도 가스관을 통해서 러시아의 천연가스가 북한으로 공급되고 또 한국으로 공급되고, 나아가서는 해저관 등을 통해서 일본으로까지 공급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기 분야와 관련, “러시아가 추구하는 ‘에너지링’ 부분도 동북아 전체가 함께하면서 러시아에서 생산된 전력이 북한과 한국으로, 그리고 또 나아가서는 일본으로까지 공급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것이 앞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어떤 공동번영을 아주 촉진하는 그런 길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동방경제포럼’ 기조연설에서 밝힌 한-러 경제협력 ‘9브릿지’ 구상도 이날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9브릿지는 가스,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농업, 수산, 일자리 등 9개 분야에 대한 양국 협력사업 추진을 의미한다.

 

문 대통령은 “한·러 경제공동위원회 액션플랜을 마련하고 있는데 논의가 굉장히 많이 진전됐기 때문에 이번 9월의 동방경제포럼에서는 양국 간에 서명할 수 있다고 기대를 하고 있다”면서 “이런 양국 간의 협력이 가속화 되는 덕분에 지난해 양국 간의 교역액은 190억 달러 정도, 그 전년도보다 40%나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아직 한·러 간의 경제 협력은 이제 시작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무궁무진한 발전의 잠재력이 있다고 생각하고,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그렇게 실천될 수 있도록 푸틴 대통령과 진심을 다해 협의를 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