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 국내 출생아 수가 역대 4월 중 최저 수준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이 공개한 인구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4월 출생아 수는 2만 7천700명으로 지난해 4월보다 2천700명(8.9%)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월별 출생아 수 통계를 정리한 1981년 이후 4월 출생아 수가 3만 명에 달하지 못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같은 달끼리 비교한 출생아 수는 지난해 5월부터 지난 4월까지 12개월 연속 역대 최저기록을 경신 중이다.
올해 1∼4월 출생아 수는 11만 7천300명으로 역시 통계작성 후 가장 적었다. 1∼4월 출생아 수(잠정치)는 지난 2015년 15만 6천24명, 2016년 14만 7천513명, 2017년 12만 9천 명으로 집계되는 등 매년 현저하게 줄고 있으며 12만 명을 밑돈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당국은 인구 구조가 출생아 감소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편, 올해 전국 17개 지역별 1∼4월 출생아 수를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세종(8.3%)이 유일하게 늘었고 강원은 지난해와 같은 수준이었으며 나머지 시ㆍ도는 모두 감소했다. 4월 사망자 수는 2만 4천 명으로 1년 전보다 900명(3.9%) 늘었다.
올해 4월에 신고된 혼인은 2만 600건으로 1년 전보다 500건(2.5%) 늘었고, 같은 달 신고된 이혼은 8천700건으로 800건(10.1%) 늘었다. 결혼 생활 기간이 5년 이내인 부부가 갈라서는 사례는 줄었으나 30년 이상인 부부가 헤어지는 황혼 이혼이 늘면서 전체 이혼 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당국은 분석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아이를 가장 활발하게 낳는 평균 출산 연령은 33세로, 전년 동월보다 11% 정도 줄었다”며 “20대 후반의 인구는 많은 편이라서 현재와 같은 출생아 감소 추세가 이어질지, 출생아가 앞으로 다시 늘어날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생산가능인구(15~64세)의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인구절벽이 당장 시작되지는 않았으나 30년 정도 후에는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