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 물동량 증가세로 오는 2025년 시설 부족 현실화 전망

인천항 물동량이 고공행진중인 가운데 부두와 하역설비가 추가로 건설되지 않으면 오는 2025년에는 시설 부족이 현실화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7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전망치와 컨테이너 부두 하역능력 등의 종합분석에는 2025년 77만4천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대분)의 시설 부족이 예상됐다.

 

기존의 인천 신항 1-1단계 부두는 안벽 길이가 총 1.6km로 6척의 선박이 동시 접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6척의 선박을 더 댈 수 있는 안벽 길이 1.7㎞의 1-2단계 부두 건설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KMI는 인천항의 시설 부족 현상이 2025년 이후 계속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4년 233만TEU, 2015년 237만TEU, 2016년 268만TEU에 이어 지난해엔 사상 최초로 300만TEU를 넘어선 305만TEU를 기록하며 신기록을 세웠다.

 

프랑스 해운조사기관인 알파라이너가 발표한 ‘2017년 세계 110대 컨테이너 항만 순위’에서 인천항은 사상 처음으로 세계 49위를 기록했고, 국내에서 300만TEU를 넘는 항만은 부산항을 제외하고 인천항이 유일하다.

 

이에 대해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인천 신항 입항 선박과 물동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컨테이너부두 추가 공급이 시급하다”며 “올해 하반기 정부 항만기본계획에 이를 반영해 내년에 착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현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