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경선을 앞두고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의 출마 여부가 최대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청와대가 지난 26일 수석·비서관 등의 인사 교체를 발표함에 따라 개각설이 모습을 드러내면서 김 장관의 거취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린다.
김 장관은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제가 정치권에 있으면 ‘출마합니다’라고 선언하면 된다. 그런데 지금은 내각에 있다”면서 “대통령도 개각을 고민하신다니 그동안의 업무 성과를 평가한 뒤 정치인 출신 장관들에게 돌아가도 좋다는 사인을 주시지 않을까”라고 밝힌 바 있다. 당 안팎에선 김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을 놓고 사실상 당권 도전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보는 분위기다.
하지만 김 장관이 공석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 개각 대상으로 지목된 3~4개 부처 장관에 포함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었고, 특히 검·경수사권 조정 등 주요 현안을 맡고 있어 교체 가능성을 낮게 보는 관측도 있다.
김 장관 측 관계자는 27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김 장관의 거취는 전적으로 대통령에게 달렸다”고 말했다. 당 대표에 도전하기 위해 김 장관 마음대로 사표를 낼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김 장관이 장관직을 내려놓고 대표직 도전에 나서더라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적으로 당권 주자들간 특히 친문(친 문재인) 인사들 간 의결조율이 필요하다. 현재 차기 당대표 주자로 자천타천 10여 명이 거론되는 가운데 김진표(수원무)·전해철(안산 상록갑)·이해찬·최재성 의원 등 이른바 핵심 친문 인사들 간 의견 조율이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음달 말 컷오프를 통해 당 대표 후보를 3명으로 압축하기로 한 만큼 그 전에는 어떤 식으로든 조율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김 장관이 친문 대표로 당권 도전에 나설 가능성은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 많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