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수면산업을 중앙정부 차원에서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수면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연간 생산성 손실액이 경기도에서만 2조6천여억 원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28일 ‘경기도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0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59분이다. OECD 국가 국민 평균 8시간22분보다 20여 분 짧은 것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 수면장애 질환자는 2014년 75만7천여 명에서 2016년 88만3천여 명으로 늘어나는 등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수면장애 질환자는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환자 등을 말한다.
이에 따라 이들의 진료비도 이 기간 934억 원에서 1천178억 원으로 늘었다. 1인당 연간 관련 질환 진료비 역시 12만3천 원에서 13만6천 원으로 증가했다. 수면장애와 관련한 약국 진료비도 2014년 369억 원에서 2016년 466억 원으로 비싸졌다.
이 같은 수면장애로 생산성이 저하돼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은 경기지역에서만 연간 2조6천470억 원, 전국적으로는 11조497억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도내 생산성 저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을 다른 분야에 투자했다고 가정할 때 생산성 손실액은 5조4천여억 원, 부가가치유발 손실은 2조3천여억 원, 취업유발 손실은 2만3천여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수면장애로 인한 막대한 경제적 손실에도 국내 수면산업의 시장 규모는 2조 원에 불과하다. 외국의 경우 미국은 45조 원, 중국은 38조 원, 일본은 9조 원이다.
이에 연구원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첨단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정책 및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도의 수면산업 육성방안으로 ▲수면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해외진출 및 시장 확장을 위한 신기술 경쟁력 강화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수면산업 생태계 조성 ▲수면산업 활성화 위한 제도적 지원 등을 제안했다.
연구를 맡은 이은환 연구위원은 “수면장애의 유병률 증가와 함께 양질의 수면욕구가 맞물려 수면산업이 미래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최근 논란이 된 라돈 침대처럼 검증되지 않은 기능성 수면제품의 경우 의료기기에 준하는 수준으로 관리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