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부동산중개업자가 지난해 10만 명을 첫 돌파 하면서 생존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들의 지난 한해 중개 건수는 1인당 9.3건으로 지난 2012년 8.9건 이후 최저치며, 2006년 이후 두 번째로 낮았다.
1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직방’에 따르면 지난해 공인중개사와 중개법인 등을 합친 개업 부동산 중개업자 수는 전년(9만 6천257명)보다 6.1% 증가한 10만 2천100명에 달했다.
중개업자 수는 2007년에 8만 명을 넘어선 후 크게 늘지 않았지만, 저금리 정책 등에 힘입어 부동산 시장 호황과 활발해진 주택 매매에 따라 최근 몇 년 새 증가했다.
이에 중개사 1명당 수요 가구 수가 적정 수준(300가구)의 절반인 170가구까지 떨어졌다.
또 정부가 부동산 시장을 강력히 규제하면서 2014년 100만 건, 2015년 119만 건, 2016년 105건 등으로 매년 100만 건을 웃돌던 연간 주택 매매량이 지난해 94만 건으로 급감했다. 주택 매매량이 늘면 중개 건수도 늘어나지만, 매매량이 줄면 중개사의 거래 건수도 감소한다.
특히 은퇴 후 나이가 들어서도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활용해 재취업이나 창업에 나서려는 사람이 많아 장년층에서 취득 열풍이 불었다. 아울러 취업난이 악화하면서 최근 청년들까지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따려고 몰려드는 추세다. 그 결과 2012년 전체 응시자의 32.2%였던 30대 이하 지원자가 2016년에 처음으로 40%를 넘어섰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중개사들 간에 경쟁이 치열하지만, 다주택자 양도세 강화가 시행된 올해 4월 이후 주택 매매 거래가 눈에 띄게 감소하고, 수요자들도 기존 주택보다 신규 분양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만큼 중개사들의 영업 환경이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