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평화협력시대 속에서 경기도 차원의 전략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적극적인 움직임이 없으면 도가 ‘기회의 땅’이 아니라 단순한 ‘통과 지역’에 머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경기연구원은 1일 ‘남북평화협력시대와 경기도의 역할’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으로 인한 평화시대 분위기가 조성, 접경지역인 경기북부가 기회의 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도 차원의 적극적인 전략 사업이 없을 경우 한국과 국제사회의 투자가 북한지역에만 집중돼 경기북부는 경원선, 경의선 등 철도와 도로가 지나는 단순 통과 지역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원은 경기북부가 통일 한반도에서 서울과 평양을 잇는 핵심 연결지대이자 물자와 인력이 몰려드는 ‘신 중심(New Center)’이 되기 위한 12대 전략사업을 제시했다.
전략사업으로는 ▲한반도 통합에 대비한 경기북부 ‘신 종합발전구상’ 수립 ▲경기도 남북교류협력 컨트롤 타워 및 플랫폼 구축 ▲한강하구 남북공동 활용 ▲임진강수계 공동 관리 ▲통일경제특구 유치 및 한반도 국제협력지대 추진 ▲남북 농업협력시스템 구축 및 북한 지역개발 참여 등이다.
또 ▲접경지역 공동 방역ㆍ방제 강화 ▲비무장지대 생태평화안보 관광지구 조성 ▲북한 내 ‘옛 경기도’ 지역과 교류협력 강화 ▲남북 사회문화 및 인적교류 확대 ▲경기북부 남북연결 철도ㆍ도로망 강화와 경원선 복원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남북경제협력사업 참여 등이 전략사업에 포함됐다.
연구를 주도한 김동성 선임연구위원은 “한반도 평화통일은 경기도의 지속 번영과 경기북부 발전의 기회인 만큼 도정을 중심으로 평화협력시대에 대비한 전략을 구상하고 수혜지를 중심으로 통일경제특구, 국제협력지대 등 인프라를 구상ㆍ설계해야 한다”면서 “중앙정부와 파트너십을 형성해 남북교류협력정책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