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래 혁신 국토교통기술 개발에 10년간 9조5천800억원 투자

정부가 스마트시티와 자율주행차, 드론 등 국토교통 혁신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향후 10년간 9조 5천800억 원을 투자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29일 열린 제2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국토교통 분야의 중장기 R&D 추진 전략을 제시하는 ‘제1차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 종합 계획’을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국토교통 과학기술에 관한 종합적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중장기 투자전략을 정하는 최상위 법정 종합 계획이다. 국토교통 R&D에 향후 10년간 투자되는 금액은 민간투자를 포함해 총 9조 5천800억 원 규모다. 국토교통 연구개발 예산 규모도 2027년까지 연 1조 원 수준으로 두 배가량 늘어난다.

 

이를 통해 2027년에는 혁신성장 동력 국가 경쟁력 세계 3위를 달성하고 현재 79.6%인 선진국 대비 기술 수준을 85%로 끌어올리는 한편 재난ㆍ재해 피해액 및 교통사고 사망자 수 등 사회적 비용을 30% 감축할 방침이다.

 

우선 정부는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국가의 혁신성장 8대 선도사업을 선정한다. 8대 선도사업은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건설자동화, 제로에너지건축, 가상 국토공간, 스마트 물류, 지능형 철도 등이다. 국토부는 이중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과 그 기반기술이 되는 공간정보 분야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저전력·초소형·지능형 센서와 보안이 강화된 사물인터넷 광역 네트워크로 도시와 주거공간 내의 사람과 사물, 인프라를 연결하고 플랫폼을 통해 각종 서비스를 창출하는 방안을 개발한다. 전통적인 국토교통 산업에 첨단 기술을 입혀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도 수행된다. 

이밖에 재난ㆍ재해 예방, 친환경 생활공간 조성 등 생활밀착형 기술 개발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