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진보 수장 탄생 ‘기대감’
교육정책 상당 부분 ‘공감대’
각종 현안 원활한 협치·소통
민선7기 박남춘 인천시장과 주민 직선 3기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이 2일 공식 취임하면서 인천에서 처음으로 민주-진보 수장 시대의 서막이 올랐다.
인천 행정과 교육의 수장이 민주-진보 구도를 보이면서 앞으로 교육정책을 추진에 있어 협치와 소통이 원활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박 시장의 새로운 인천준비위원회와 도 교육감의 공정한 인천교육소통위원회가 준비위·인수위 기간 송도·청라 경제자유구역 내 학교 과밀 해소를 위한 협의를 한 것만 봐도 향후 적극적인 협치와 소통 행보를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박 시장과 도 교육감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전제로 정책을 추진하면 각종 잡음이 끊이지 않을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더욱이 인천시의회 37석중 34석을 민주당이 차지하면서 시의회는 물론, 시 행정부에 교육정책이 종속될 여지도 더욱 높아졌다. 시와 교육청이 마찰을 빚을 수 있는 교육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시의회가 시 행정부를 위한 거수기 역할을 자처하면 교육청으로서는 속수무책으로 끌려 다닐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실례로 지난 민선6기와 주민 직선2기는 자유한국당 유정복 전 시장과 진보진영 이청연 전 교육감이 취임 초기부터 중학교 무상급식 시행 등에서 엇박자 행보를 보이는 등 지속적으로 마찰을 빚은 바 있다. 특히 이 전 교육감이 비리 혐의로 수장직을 내려놓았던 지난해 말 유 전 시장이 자유한국당 시의원들을 등에 업고 일방적으로 고등학교 무상급식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박융수 교육감권한대행과 치열하게 대치하는 등 각종 논란을 불러 일으킨 전력도 있다.
민주-보수 구도였던 민선5기 송영길 전 시장과 주민직선1기 나근형 전 교육감은 법정전출금 문제로 4년 내내 공방을 벌이면서 교사 등 교육공무원의 인건비마저 줄 수 없을 정도로 교육재정이 어려운 상황을 겪은 바 있는 등 지방행정 수장과 지방교육 수장의 엇박자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학부모 등 시민이 떠안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첫 민주-진보 수장이 탄생한 이번 구도가 교육정책에 있어서는 정치적인 의도 보다는 학생과 학부모 등 시민을 위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인천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민주-보수, 한국당-진보 등 엇갈린 정치진영 논리로 인천 교육계가 아픔을 겪은 것은 주지할 수 없는 사실”이라며 “첫 민주-진보 수장 구도가 교육의 정치적 이용이 아닌, 진정한 교육발전을 이뤄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