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사직 폐지… 정수·역할 등 세부 조율작업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이 각 상임위원회별 간사직을 폐지하고 부위원장직을 신설하기로 하면서 ‘여당 부위원장’의 역할 정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0대 도의회가 단일 교섭단체 체제로 꾸려짐에 따라 기존 간사가 담당하던 의견 조율역할 등이 사실상 사라진 만큼 신설될 부위원장직의 명확한 역할정립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4일 도의회에 따르면 민주당 대표단은 각 상임위원회에서 교섭단체별로 운영되고 있는 간사직을 폐지하고 부위원장직을 신설하는 내용의 조례 개정을 검토 중이다.
이는 10대 도의회에서 유일하게 교섭단체를 꾸린 민주당이 각 상임위원장과 간사직을 모두 차지하게 됨에 따라 그동안 교섭단체간 의견조율 역할을 담당해온 상임위 간사직의 역할 전환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데 따른 것이다.
이와 관련 대표단은 부위원장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타지자체 사례를 토대로 조례개정을 검토하고 있으며 부위원장 정수와 역할 등에 대해 세부 조율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염종현 민주당 대표의원(부천1)은 “민주당이 유일하게 교섭단체를 구성한 만큼 효율성에서 볼 때 상임위원장-부위원장 체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며 “현재 부위원장을 각 상임위별로 1명을 둘지, 2명을 둘지에 대한 부분과 세부적인 역할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염 대표는 상임위원회 간사 명칭 변경을 통한 부위원장 제도 도입 등을 대표의원 선거 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도의회 관계자는 “도의회가 민주당 독주 체제로 재편된 만큼 단순히 명칭을 변경하는 것 외에도 역할에 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며 “상임위원장 대행 등 기존 간사 역할은 물론 정책분야 전담 등 세부적인 역할 분담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부위원장직 신설에 대한 세부방침을 마련한 뒤 17일 꾸려지는 의회운영위원회에 안건으로 회부, 임시회 본회의에서 최종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