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자율형사립고·외국어고·국제고 지원자의 일반고 중복 지원을 허용하는 고교 입시 가이드라인을 내놨다.
이에 따라 일부 중3 학생들의 입시 셈법이 복잡해지면서 교육계도 혼란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교육부는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시·도 부교육감 회의를 열어 ‘자사고 지원자의 일반고 지원을 허용하라’는 최근 헌법재판소의 고교 입시 관련 결정에 따른 정책 방향과 후속 대책을 논의한 뒤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이 구체적인 고입 전형계획을 이달 말까지 확정하기로 했다.
이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자사고 지원자들에게 일반고 지원 기회를 부여하되, 일반고에 1순위를 지원하는 학생들이 역차별을 당하지 않아야 한다는 배정 원칙을 정했다.
결국 자사고 지원자는 1단계 또는 1순위에서 자사고를 지원하고, 2단계 또는 2순위 이하에는 일반고를 지원할 수 있게 됐다. 자사고 불합격생에게 다시 일반고 1순위 지원 기회를 주는 것은 일반고 지원자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교육부는 판단했다. 이 같은 배정 원칙은 외고·국제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교육 전문가들과 학교 현장에서는 현 중3 학생들이 또다시 혼란을 겪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까지 8~11월 전기모집을 실시했던 자사고ㆍ외고ㆍ국제고의 입학전형이 올해부터 일반고와 함께 12월로 바뀌면서 고입 지원전략을 다시 세워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중3 학생들은 현재 논의 중인 오는 2022학년 대입개편의 당사자이기도 해 급변하는 교육정책의 희생양이 될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경기도교육청은 2019학년 고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에 대한 수정 및 보완 등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대책 마련에 돌입한 가운데 외고ㆍ국제고 학부모들이 5일 오전 9시 도교육청 앞에서 ‘2019년 고교지원 입시정책 개선요구’ 집회를 예정하고 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