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중 통상분쟁 등 주요 리스크 요인 집중 점검

국내외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동향 등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

▲ 정부는 기획재정부 이찬우 차관보 주재로 미중 통상분쟁과 관련해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
▲ 정부는 기획재정부 이찬우 차관보 주재로 미중 통상분쟁과 관련해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 회의를 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정부가 미국과 중국의 통상분쟁, 글로벌 금융시장 및 국제유가 등 주요 리스크 요인을 집중 점검했다.

기획재정부는 6일 이찬우 차관보 주재로 관계기관 합동 점검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중 통상분쟁과 관련해 미국은 우리 시간으로 6일 13시를 기해 대중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340억 불)를 부과할 계획임을 지난 6월 15일 언급한 바 있다. 이에 중국은 대미 수입품에 대해 동일규모의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응수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 수출은 올해 상반기 6.6% 증가하며 사상 최대 반기 실적(2천975억 불)을 기록하는 등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미-중 통상분쟁 등 글로벌 무역갈등이 심화·확산하는 경우에는 세계 경제 및 국내 수출에 주요한 하방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금융시장 변동성도 확대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정부와 관계기관은 긴밀한 공조체계를 유지하면서 향후 전개상황에 대해 긴장감을 느끼고 철저히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합동점검반 등을 통해 관계기관 간 정보공유를 강화하고 국내외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 동향 등을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에는 적기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미-중 통상분쟁의 영향이 국내로 퍼지지 않도록 아웃리치 활동 등도 적극적으로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라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