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vs “내년 초” 당내 이견 팽팽… 한국·바른미래, 전대 시기 놓고 옥신각신

범보수 야권인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6·13 지방선거’ 참패로 비상대책위원회 체체를 맞고 있는 가운데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시기를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차기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되는 범보수 야권의 지도부는 오는 2020년 21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막강한 권한을 가진다. 하지만 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모두 ‘조기 전당대회 vs 내년 초 전당대회’ 의견이 엇갈리는 중이다.

 

한국당은 신임 당 대표의 임기를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7월까지로 하는 안과 내년 초 신임 당 대표 선출 후 새로 2년의 임기를 부여하는 안을 놓고 소속 의원들 간 의견이 분분하다.

 

안상수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준비위원장(인천 중·동·강화·옹진)은 지난 5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하반기는 12월까지 정기국회”라며 “이 때문에 전대는 빨라도 1, 2월 정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옛 친박(친 박근혜)계와 일부 중진들을 중심으로는 ‘조기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9일 의원총회를 통해 전당대회 개최 시점을 다시 논의할 계획이다. 당초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대회를 다음 달 19일로 못 박았으나 흥행 저조, 시기 조절에 대한 우려 속에 새 지도부 선출을 미루자는 의견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정병국 의원(여주·양평)은 지난 5일 의원총회에서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대회를 당초 예정된 8월이 아닌 내년 1월로 미루고 당대표 임기 단축 등을 제시했다. 정 의원 측 관계자는 “당 혁신을 위한 차원으로 이 같은 시간표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