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분야 근로자의 재해율이 0.9%로 전체 산업근로자(0.5%)보다 1.8배 높아 작업환경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15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농민의 농작업 중 발생하는 재해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 최근 열린 농작업안전보건전문위원회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국제노동기구(ILO)에서 농업은 광산업, 건설업과 함께 3대 위험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국내 농업분야 근로자의 재해율은 0.9%로, 전체 산업근로자의 재해율(0.5%)보다 1.8배나 높아 불안전한 작업환경 개선과 농민의 안전의식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보건, 인간공학, 산업공학 등 관련분야 전문가 15명으로 구성된 농작업위원회는 농작업 과정의 위험요소를 분석해 개선될 수 있도록 컨설팅하고 안전교육을 시행하는 기구다.
최미용 도 농기원 기술보급국장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을 위해 농민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 보급과 농업활동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 농기원은 이번 농작업위원회에서 신규 위원 2명 위촉과 위원장을 선출하고 참여형 마을지도그리기 교육사례 공유, 새로운 농작업 안전사업 확보 등 중점사업과 관련된 논의도 진행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