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방·고졸인재, 장애인, 저소득층 등의 ‘공무원 채용’ 확대를 위한 범정부적 추진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또 여성관리자 임용 확대를 위해 올해 안으로 모든 중앙부처에 여성 고위공무원 1명 이상 임용을 추진한다.
인사혁신처는 국무회의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정부의 균형인사 정책 목표와 추진과제를 담은 ‘제1차 균형인사 기본계획(2018~2022)’을 보고했다고 17일 밝혔다.
정부가 범정부 차원의 종합적인 균형인사 정책비전과 중장기 전략을 통해 채용-인사관리-조직문화 전반에 걸친 균형인사 정책 과제를 마련한 것은 처음이다.
먼저 정부는 전체 여성공무원 비율에 비해 과소대표된 여성관리자 임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고위공무원단 중 여성 비율을 지난해 6.5%에서 2022년 10%로, 본부과장급 여성은 같은 기간 14.7%에서 21%로 확대된다.
특히 올 연말까지 모든 중앙부처에 여성 고위공무원을 1명 이상 임용하도록 했다.
고위공무원 승진 후보자 2∼3배수 추천 시 양성을 모두 포함하도록 제도화하고 중앙선발시험위원회 위촉 위원 중 40% 이상을 여성위원으로 채우도록 할 방침이다. 또 기관별 주요직위의 여성임용을 확대, 기관평가에 반영하고 양성평등채용목표제를 통해 채용 시 직종과 직렬의 성비 불균형 해소에도 나선다.
이와 함께 정부는 중앙행정기관의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률을 높이기 위해 7·9급 공채의 장애인 구분모집 비율을 현재 6.4%에서 6.8%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당초 2021년까지인 5급 지방인재채용목표제 적용기간과 2019년까지인 7급 지방인재채용목표제 적용기간을 각각 합격 인원 대비 20%, 30%를 달성할 때까지로 연장된다.
빅데이터 등 4차 산업시대 대비 직렬·직류 체계 개편, 행정·기술 복수직위 및 공통부서 기술직 임용 확대를 추진하고, 여성 이공계 출신 고위직 확대와 여성과학기술 인재 발굴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김판석 인사처장은 “정부 최초의 ‘균형인사 기본계획’이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균형인사 현황을 담은 연차보고서 발간, 기관별 균형인사 이행 실적의 각종 평가 반영 등 정책의 이행력 확보 방안에 역점을 두고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