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 사용하는 리코더 10개 중 9개에서 유해물질 검출

초등학생들이 사용하는 리코더 10개 중 9개에서 대장균군과 일반세균 등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한국소비자원은 국가기술표준원,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초등학교 학생들이 사용하는 리코더 위생상태를 점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소비자원이 초등학생이 음악수업에 사용한 리코더 93개를 대상으로 입과 직접 접촉하는 리코더 윗관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92.5%(86개)에서 일반세균이 최대 2억CFU(세균 세는 단위), 6.5%(6개)에서는 대장균군이 최대 3천600만CFU가 검출됐다.

 

소비자원의 이전 다른 조사결과와 비교했을 때 일반세균은 대형할인마트 카트 손잡이보다 약 312배, 대장균군은 공용 기저귀 교환대보다 약 32만 배 높아 오염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초등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리코더 관리실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절반 이상인 131명(58.2%)은 사용 전후 세척 등 위생관리를 전혀 하지 않았고, 58명(25.7%)는 불규칙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오염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리코더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 악기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일반세균이 98.6% 줄고, 세제로 세척할 경우 100% 제거할 수 있는 등 초등학생도 어렵지 않게 위생관리를 할 수 있는 만큼 체계적인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기술표준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악기 17개(리코더 6개, 멜로디언 6개, 단소 5개) 제품에 대해 조사한 결과, 2개 제품(11.8%)에서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했다. 멜로디언과 단소 케이스에서는 중추신경 장애를 유발하는 납이 기준치 대비 3.5배,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138.7배 초과 검출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들 악기 케이스에 대해 수거·교환 등 리콜을 지시했다.

 

이호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