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공사·공단 ‘의기투합’…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 거버넌스 협약

공기업 경영평가 사회적경제 지원
20%서 35%로 대폭 ‘상향 조정’
특수목적법인 등 거버넌스 확대

▲ 19일 인천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 촉진 거버넌스 구축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박남춘 인천시장, 심옥빈 인천시사회적기업협의회 회장 등 각 단체•기관 대표들이 협약식을 마친 뒤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송길호기자
▲ 19일 인천시청 접견실에서 열린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 촉진 거버넌스 구축 업무협약식에 참석한 박남춘 인천시장, 심옥빈 인천시사회적기업협의회 회장 등 각 단체·기관 대표들이 협약식을 마친 뒤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송길호기자
인천시가 사회적 경제 민·관 거버넌스 구축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19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 지역 내 사회적 경제를 발전시키고자 사회적 경제 조직과 거버넌스 관계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우선 인천시는 이날 시장과 5개 공사·공단 사장, 3개 사회적 경제조직이 모여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 촉진 거버넌스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각 주체가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해야 할 내용이 담겼다.

협약에 따르면 시는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을 우선으로 구매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컨설팅·홍보 등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는 공기업 기업경영평가에서 사회적 경제 지원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을 20%에서 35%로 상향 조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공단의 경우 지역 내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및 서비스 구매율을 3% 안의 범위에서 우선 구매하기로 협의했다. 사회적 경제협회는 우수한 제품 및 서비스의 경쟁력 제고와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시는 사회적 경제기업 제품 우선 구매를 특수목적법인과 민간기업까지 넓혀 거버넌스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시는 인건비 보조금 지원 등 소규모 지원에서 탈피해 적극적인 재정 지원 정책을 펼칠 전망이다.

 

특히 생산설비 구축 등 많은 비용이 들어갈 부분에 대해 시가 재원을 지원하는 방안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는 해당 정책의 예산 마련을 위해 관계부처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은 사회적 경제 민·관 거버넌스 구축의 큰 획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인천에서 사회적 경제가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