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단순노무직 비중 최고치

건설노동이나 배달 등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청년의 비중이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한 청년층(15~29세) 중 단순노무에 종사하는 청년은 올해 5월 기준으로 1년 전보다 2만 7천 명 늘어난 25만 3천 명이었다. 통계 분류상 ‘단순노무’는 건설현장의 소위 ‘막노동’이나 주유, 음식배달 등 보조 업무 성격의 일을 뜻한다.

 

졸업·중퇴 청년의 단순노무직 비중은 전체(330만 1천 명)의 7.7%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5월에도 졸업·청년층 단순노무직이 큰 폭으로 늘며 23만 7천 명까지 치솟았지만 비중은 지금보다 낮은 7.0% 수준이었다.

 

본격적으로 사회활동을 시작했음에도 주유 보조나 건설현장 등을 전전하는 청년층이 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고용의 질이 악화됐다는 것을 뜻한다. 최저임금 인상, 노동시간 단축 등 정부 정책이 노동 비용을 끌어올리는 원인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일자리가 충분히 늘지 못하고 있고 결국 청년층이 단순노무직으로 밀려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취업이 안 되면 생활비를 벌어야 하는데 일자리 여건이 좋지 않으면 건설현장 등으로 나갈 수 있다”며 “이런 상황이 통계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