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청년층 취업과 창업 지원을 위해 ‘청년 자활근로 사업단’을 도입하고 자활기업 일자리를 2022년까지 2만 개 더 늘린다.
보건복지부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자활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자활기업은 정부의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해 기술을 습득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이 설립ㆍ운영하는 기업을 말한다. 청소, 집수리, 폐자원 재활용, 돌봄서비스 등이 주요 업종이다.
복지부는 빈곤층 일자리 확대를 위해 현재 1천100개인 자활기업을 2022년까지 2천100개로 늘리고, 고용자 수를 1만 1천 명에서 3만 1천500명으로 2만 명 이상 늘리기로 했다.
복지부는 또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한 지 만 2년이 되지 않는 18∼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반기부터 청년 자활근로사업단을 운영한다. 심리적 자립, 사회적응 훈련, 기술훈련, 사업단 운영을 거쳐 청년이 선호하는 카페, 제과, 인테리어, 애견, 디자인, 온라인쇼핑몰 사업을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사업단에 지급되는 사업비의 50%를 자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보장하고, 최대 3천만 원의 사업 개발비를 별도로 지급할 예정이다.
방석배 복지부 자립지원과장은 “이번 대책은 저소득층의 일자리를 확대하고 소득 재분배와 저소득의 계층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라며 “취업과 창업, 시장에서의 자립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