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수립·집행 등 일자리 중심 조직 개편… 4차 산업혁명 선제적 대응
박남춘 인천시장이 4차 산업혁명의 고용 없는 성장에 따른 양극화 문제에 대비를 위해 신설하는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가 조직개편과 맞물려 오는 10월쯤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30일 인천시에 따르면 일자리 중심의 행정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일자리경제국, 산업진흥과, 신성장산업과와 함께 공공일자리부서와 민간 일자리 부서를 통합해 기존 국 단위의 조직을 본부 단위로 높이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자리 조직 및 인력운영의 시너지를 창출하고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책의 수립·집행·평가·환류 등 전단계를 일자리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시는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 신설하는 조례안을 발의해 다음달 열리는 인천시의회 임시회에 조직개편안과 조례안을 함께 상정할 예정이다. 조직개편안과 조례안이 시의회를 통과하면 이르면 10월쯤 시장 직속일자리 위원회가 운영될 것으로 기대된다.
청년일자리를 비롯한 다양한 일자리 관련 이슈를 논의할 수 있는 게이트키퍼(Gatekeeper) 역할을 할 시장직속 일자리위원회는 박 시장이 당선인 시절부처 꾸준히 도입을 언급해 왔다.
현재 인천에는 인천시노사민정협의회와 인천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등이 구성돼 있지만, 개최 실적이 저조하고 위원회별 대표자(한국노총인천지역본부·인천상공회의소)가 달라 지역 특성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담당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 시본청에 있는 일자리경제국과 투자유치산업국의 이원화로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가 발생하는 등 일자리위원회 설치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시장과 민간위원장이 공동위원장으로 기업분과·고용분과·청년분과·복지분과 등 4개 분과에 30인 이내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기업분과는 ‘중소기업 일자리 질 개선’, ‘중소기업 미스매칭 해소 방안’, ‘전략산업 육성 및 유망산업 일자리 연계 방안’ 등을, 고용분과는 ‘지역특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 사업’, ‘산업별 직업훈련·인력양성’, ‘구인·구직 위업지원 서비스’,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등을 각각 담당한다. 청년분과는 ‘청년일자리 동향·수요 분석’, ‘청년일자리 사업 발굴 건의’, 청년일자리 미스매칭 해소방안’ 등을, 복지분과는 ‘여성일자리 취업지원’, ‘노인 일자리 창출’, ‘장애인 취업 확대’ 등을 각각 맡는다.
시 관계자는 “현재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를 만들기 위한 조직 구성 등을 담은 조례안을 준비하고 있다”며 “일자리위원회 신설이 조직개편과 맞물려 있기에 현재 다양한 방식의 운영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