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년 숙원’인 통일경제특구, 민선 7기 내 이뤄진다…이화영 평화부지사 “반드시 이뤄낸다”

▲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8월 1일 오전 도청 기자실을 방문해 간담회를 하고 있다
▲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8월 1일 오전 도청 기자실을 방문해 간담회를 하고 있다

1천300만 경기도민의 ‘12년 숙원’인 통일경제특구가 민선 7기 내 이뤄질 전망이다. 도 집행부와 중앙 정치권의 강력한 협력 의지와 함께 임기 내 ‘첫 삽’이 가시화되면서 ‘22조 원 잭팟’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화영 경기도 평화부지사는 1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통일경제특구를 반드시 이뤄내겠다”며 “문희상 국회의장(의정부갑), 정성호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양주) 등 중앙 정치권과도 합이 잘 맞아 원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도에 따르면 통일경제특구는 개성공단처럼 경기북부 등 접경지역에 남한의 기술과 자본, 북한의 노동력을 결합한 특구를 말한다. 특구 설치시 정부는 세제 감면, 기반시설 지원, 수도권정비계획법 같은 법률의 적용 배제 등 각종 혜택을 부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치권은 2006년(임태희 전 의원 발의)부터 통일경제특구 설치 관련 법안을 수차례 발의하고 있으나 남북관계 악화ㆍ이벤트성 정책 지적 등으로 번번이 입법에 실패했다.

 

그러나 민선 7기에는 상황이 다르다. 남북정상회담ㆍ북미정상회담 등 남북협력시대를 맞아 이재명 도지사가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인의 1호 공약으로 ‘통일경제특구 지정 추진’을 내세웠으며, 이에 발맞춰 지난달 13일 한병도 청와대 정무수석과의 접견에서도 도내 최대현안 6가지 중 하나로 특구 조성을 정부에 건의했다. 또 기존의 연정부지사를 평화부지사로 변경하고, 국회의원 출신인 이화영 부지사를 임명하며 ‘통일경제특구 법안의 통과 지원’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안겼다.

 

통일경제특구 법안이 연내 통과돼 특구가 도내 설치되면 최대 22조 원의 경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경기연구원은 특구 조성시 9조~22조 원의 생산유발 효과, 7만~17만 명의 취업유발 효과, 3~8조 원의 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나올 것으로 추산했다. 도는 균형발전 및 막대한 경제효과를 기대하며 연내 관련 법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 부지사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자신이 이룰 첫 번째 성과로 ‘DMZ 관광단지 개발’을 꼽았다. DMZ를 생태평화관광 지역으로 구성, 통일 이슈 선점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한다는 구상이다. 또 북한의 반대 입장으로 어려움을 겪는 경원선 복원사업의 연내 재개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