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15명 중 8월에만 27명 숨져
사고원인 10건 중 6건이 ‘부주의’
지난해 휴가철인 8월에 연안해역 사망 사고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집계됐다.
1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연안 안전사고 사망자 115명 중 휴가철인 8월에 27명(23.5%)이 목숨을 잃었다.
사고원인은 부주의가 약 60%로 가장 많았고, 음주와 안전수칙 미준수가 뒤를 이었다. 특히 평일에 비해 주말 낮 시간대 사고 발생율이 높았다. 장소별로는 해안가가 가장 많았으며 항·포구, 갯바위, 해수욕장 순으로 나타났다. 인명피해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 3배 많았고, 사망사고자 95%가 구명조끼 미착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수상레저기구를 이용해 여가생활을 즐기는 이들이 증가하면서 수상레저 안전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해 총 797건의 수상레저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중 115건이 8월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8월 발생사고 중 기관고장 등 표류사고가 89%(95건)를 차지했다. 기구별 사고 건수는 모터보트 53건(46.1%), 고무보트 25건(21.7%), 요트 13건(11.3%) 순으로 나타났다.
해경은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휴가철 연안 취약지역 순찰을 강화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상레저기구별 안전수칙 영상을 게시해 레저 안전을 홍보하고 있다.
윤병두 해경청 구조안전국장은 “바다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선 피서객과 레저객 모두 스스로 안전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해양경찰도 휴가철 국민의 해양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허현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