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직속 ‘협치소통협력관’ 2급 전문임기제 개편 ‘열린시정’
정무경제부시장→균형발전정무부시장 ‘원도심 부활’ 이끌어
일자리경제본부 신설… 청년정책과 통해 청년일자리 해결 총력
인천시의 민선 7기 첫 조직개편은 박남춘 시장이 후보 시절부터 강조한 협치를 중심으로 원도심 균형발전·일자리·남북교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먼저 협치의 중심에는 시장 직속 협치소통협력관이 있다. 기존 정무경제부시장 산하에 있던 시민소통협력관을 2급 상당 전문임기제로 시장 직속기구로 두는 내용이다. 산하에 민관협력담당관, 혁신담당관, 지역공동체담당관, 시민정책담당을 새롭게 배정한다. 이는 서울시의 시민소통기획관과 흡사한 체계다. 서울시는 시민소통기획관 산하에 시민소통담당관, 도시브랜드담당관, 시민봉사담당괌, 뉴미디어담당관, 신속행정담당관을 두고 민관 협치를 이끌고 있다.
원도심과 신도시 균형발전을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버금가는 원도심 전담기구를 설치한 점도 눈에 띈다. 시는 정무경제부시장의 명칭을 균형발전정무부시장으로 바꾸고 산하에 2급 상당의 전문임기제로 원도심재생조정관을 신설, 도시재생국과 도시균형계획국을 이끌게 했다.
시는 2급 상당의 전문임기제로 원도심재생조정관을 두는 것이기 때문에 인사불만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내부 검토 과정에서 2급 상당의 전문임기제로를 채용하면 인사적체를 가중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됐던 것으로 전해지는 등 논란의 불씨가 해소되지 않은 점은 숙제로 남는다.
일자리경제본부를 신설하고 일자리기획관을 두는 등 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한 것은 새롭다. 특히 시는 일자리경제국 아래 청년정책과를 새롭게 만들어 청년정책팀, 청년활동지원팀, 청년 일자리 지원팀, 창업지원팀 등 1과 4팀 18명의 조직을 구성, 사회적 이슈로 부각된 청년 일자리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시는 가칭 남북교류협력담당관을 신설, 분산된 남북교류업무를 총괄하게 하는 등 박 시장의 1호 공약의 추진 기반을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남북교류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고자 통일부 전문 인력(4급)의 파견 근무를 이끌어 내겠다는 구상이 현실적으로 이뤄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시는 경기도의 통일기반조성담당관과 강원도의 남북교류협력 테스크포스(TF) 단장을 예를 들고 있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통일부 인력 파견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속적으로 논의를 이어갈 방침이다”며 “2급 상당의 전문임기제를 뽑는 것도 개방형으로 하겠다는 것이기에 내부 공무원이 사직서를 내고 공모에 참여하면 되는 등 인사불만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