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이 문재인 정부에 대해 ‘대중영합주의’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지며 비판하고 나섰다.
김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오찬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가의 합리성을 높인다는 관점에서 대중영합주의 정책에 반대할 부분은 반대하겠다”면서 “대중영합주의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를 꺼내려고 했지만, 정기국회를 앞두고 있어 이야기한다”고 밝혔다.
비대위원장 취임 후 ‘국가주의’라는 화두로 문재인 정부를 겨냥했던 김 위원장이 ‘대중영합주의’를 추가로 내세운 것은 정부 여당과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그는 앞서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도 “문재인 정부가 어떻게 보면 상당히 국가주의의 틀 속에서 대중영합주의의 틀 속에서 잘못된 정책프레임을 가지고 정책을 밀어붙이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한국당이 이번 정기국회에서 법안과 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국가주의적 틀과 대중영합주의를 벗어나서 자율체제에 입각한 시장자율을 존중하는 정책패키지 대안을 내고 또 합리주의적인 틀 속에서 정책을 제안하는 마지막 기회라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당 지지율이 정체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국민이 올해 12월 정도면 믿어줄 것”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비대위는 절대로 일찍 끝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리더십과 관련, “사람 좋은 스타일은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노무현 정부 시절 맡았던 민정수석이나 비서실장이 리더십을 발휘할 자리가 아니기 때문에 리더십을 볼 일이 없었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