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등록 총 인구 5천177만여명…1971년생 인구 최다

지난해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5천177만여 명이며, 국내에서 발생한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으로 발생한 재산피해액만 3천억 원에 달했다.

 

행정안전부가 7일 발간한 ‘2018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전년 대비 0.2% 증가한 5천177만 8천544명이었고, 가구당 인구수는 2.39명으로 전년 대비 0.04명 감소했다.

 

통계연보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전국 행정구역, 공무원 정원, 지방자치단체 예산 등 행정안전 부문 통계를 정리한 것으로, 정부조직과 행정관리, 전자정부, 지방행정, 지방재정, 안전정책, 재난관리 등 9개 분야, 401개 통계표가 수록됐다.

 

주민등록인구의 전국 평균연령은 전년보다 0.5세 증가한 41.5세였고, 가장 인구가 많은 연령은 46세(1971년생)로 94만 4천179명이었다.

 

남성 중에서는 46세가, 여성 중에서는 57세(1960년생)가 가장 많았다. 시도별 평균연령은 세종이 36.7세로 가장 낮고 전남이 45세로 가장 높았다.

 

공무원 정원은 104만 8천831명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고, 이 중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정원은 31만 6천853명으로 3.1% 늘었다.

 

2018년 지자체 예산은 210조 7천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 늘었다. 특히 사회복지예산이 전년 대비 15.5% 늘어나면서 전체 예산 중 27.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자체 재원조달 자립도를 나타내는 재정자립도는 전국 평균 53.4%였다. 광역자치단체 중 재정자립도가 가장 높은 곳은 82.5%로 서울이 가장 높았고, 전남이 20.4%로 가장 낮았다. 지방세 징수액은 80조 4천억 원(잠정)으로 전년보다 약 6.5% 늘었다.

 

또 자연재해로 1천873억 원 규모 재산피해가 발생해 복구비 4천997억 원이 투입됐다. 2016년과 비교해 재산피해와 복구비는 각각 37%, 18% 줄었다.

 

이밖에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가축피해 830억 원 등 사회재난 16건으로 1천92억 원의 재산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