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물놀이 사고 유형중 음주수영은 50대 이상, 수영 미숙은 1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3~2017년) 여름철(6월~8월)에 발생한 물놀이 인명피해 사고를 분석한 결과, 사망자는 총 169명이며, 8월에만 81명(48%)이 숨져 월별 대비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서도 월별 물놀이 인명피해는 6월 25명, 7월 63명, 8월 81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47명(28%)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10대가 44명(26%), 20대가 34명(20%)이었다. 원인별로는 수영미숙 53건(31%), 안전부주의 44건(26%), 음주수영이 26명(15%) 등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발생 원인을 자세히 보면 음주수영은 20대 이후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사고 발생도 많아진다. 특히 50대 이상은 음주수영으로 인한 사고가 많아 더욱 주의를 요한다.
수영 미숙은 10대 이하에서 26명(49%)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행안부는 안전한 물놀이를 위해 음주 후에는 절대 물에 들어가지 않고, 식사 직후 물놀이도 피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하천이나 강, 계곡은 해수욕장과 비교하면 다양한 위험요인이 상존하기 때문에 주변에 위험요소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8.15 광복절 전후로 여름휴가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계곡과 해수욕장 등에서 물놀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음주 후 물놀이를 금하고 자신의 수영실력을 과신한 무모한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