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당권 주자들, 경제 살리기 ‘불꽃 공방’

김진표 “중소벤처창업 활성화… 금융개혁 이끌어야”
송영길 “국내 구조만 본 것… 세계 정책과 결합 필요”
이해찬 “리스크 방지 신용도 조사 충분히 이뤄져야”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 선거전이 중반전을 향해 달리고 있는 가운데 김진표(수원무)·송영길(인천 계양을)·이해찬 후보 간 날선 공방전이 점차 가열되고 있다.

 

세 후보는 8일 오후 부산 MBC가 주관하는 부산·울산·경남 지역 TV토론회에 출연, 당 대표 경선 중반 구도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한 기선 잡기에 나섰다.

 

김 후보는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부·울·경 지역 경제가 재난 수준이다. 당 대표가 되면 추경으로 지원하고 있는 고용위기지역과 산업위기대응지역에 신속한 효과가 나오도록 하겠다”며 “특히 국정 계획에 포함된 남북 내륙철도 건설, 울산 외곽순환도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내년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송 후보도 “문재인 대통령의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아 선거를 승리로 이끌고 북방경제협력위원장으로서 문 대통령의 정책을 뒷받침해왔다”면서 “이 경험을 기초로 북방경제와 부·울·경 경제를 연결시켜 부산을 동북아 해양수도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표심을 자극했다.

 

이 후보도 “해양수도 부산을 북방 경제의 출발점이자 혁신 성장 근거지로 삼겠다”며 “경남은 조선 산업, 항공우주 산업 등 신성장 일자리 육성에 집중하겠다. 일하는 민주당을 만들어 경제를 살리겠다”고 힘줘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민생과 경제 살리기’가 주요 화두로 떠올랐다.

 

김 후보는 “문재인 대통령이 은산분리 규제 완화 방침과 이를 위한 입법 뒷받침이 중요한다고 발표했는데 제가 발표해온 구상과 똑같다”면서 “제가 문 대통령의 국정기획자문위원장으로서 5개년 계획에 넣은 것을 문 대통령이 발표하고 실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경제가 저성장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는데 (해결책으로) 중소벤처 창업을 새 성장 동력으로 만들어야 극복이 가능하다”며 “그래야 융자에서 투자로의 금융개혁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경제전문가로서 여론의 지지를 받고 있는 김 후보를 향해 두 후보가 협공을 펼쳤다.

 

송 후보는 “김 후보가 지적하는 것은 국내적 구조만 본 것이다. 한국 경제는 이미 세계화돼 있다”면서 “경제 문제는 중·미·일 간 세계적 통상 정책과 결합해서 봐야 하고 상호 협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후보 역시 “융자에서 투자로의 금융 개혁은 좋지만 이를 위한 리스크 방지용 신용도 조사가 많이 이뤄져야한다”면서 “유럽 은행은 이미 신용조사에 큰 자원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리스크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인적·물적 자원을 투자은행에 속하는 증권회사나 자산운영에다 더 많이 비중을 주고 이것을 주된 수입원으로 삼는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며 “또한 국제화도 중요하지만, 금융개혁이 촉진되도록 외국 벤처캐피탈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고 싶어할 때 여러 규제를 풀어주는 게 중요하다”고 반박했다.

 

한편 세 후보들은 이날 토론회 전까지 지지세를 확산하기 위한 각자의 일정을 소화하며 경쟁력을 다졌다.

 

김 후보는 오전 KBS1라디오 ‘최강욱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경제 현안 해결에 대한 비전을 밝혔고, 송 후보 역시 오전 KBS광주 제1라디오 ‘출발! 무등의 아침’ 인터뷰에 출연해 ‘유일한 호남 출신’ 당권주자로서 입지를 다졌다. 이 후보는 별도 공식 일정 없이 토론회 일정에 집중했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