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전농연 경기도연맹은 수원 경기도의회 앞에서 ‘스마트팜 밸리 조성사업 저지를 위한 경기농민 기자회견’을 열고 “스마트팜 혁신 밸리 사업은 농민을 죽이는 정책”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사업은 ICT(정보통신기술)를 온실ㆍ축사 등에 접목해 스마트폰, PC를 통해 원격ㆍ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관리하는 농장이며 ▲스마트팜단지(청년임대농장 포함) ▲창업보육센터 ▲실증단지 등 20㏊ 규모로 조성된다.
이길연 전농연 경기도연맹 의장은 “스마트팜 밸리 조성사업이 농업 관련 시설업자만 배를 불리면서 대기업이 농업에 진출하는 길을 터주는 사업이 될 것”이라며 “축산도 대기업이 생산ㆍ유통 등을 장악해 노예화됐는데 마지막 남은 농업까지 대기업 진출의 위협을 받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의장은 “쌀을 비롯한 주요농산물에 대한 가격 보장과 유통구조 개선을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에 모두 안정적인 농업정책을 세우기 위한 노력부터 하라”며 “장기적으로 보면 스마트팜으로 인해 기존 농가들이 밀려날 수 있어 즉각 사업을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창현 전농연 경기도연맹 부의장도 “밸리 조성을 추진하면서 청년 창업계획을 반영하고 있지만, 청년 일자리는커녕 청년 농민들이 일자리를 뺏기는 모순이 생긴다”며 “또 예산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한 채 사업을 추진하면 국민의 반발을 사지 않을 수 없으니 사업계획안을 내놓고 공청회를 하면서 투명하게 진행하라”고 촉구했다.
이 같은 경기지역 농민들의 반발은 지난 2일 농식품부가 2022년까지 전국 4곳에 구축하려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1차 선정 지역으로 경북 상주와 전북 김제를 발표하면서 거세졌다. 경기도는 파주시를 후보로 올렸지만 1차 선정에서 탈락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농연의 우려와 지적에 대기업의 농업 생산분야 진출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농식품부 스마트팜 혁신 밸리 유치 전담 TF팀 관계자는 “대기업이 참여하는 부분은 실증단지에 한정돼 농업용 로봇 연구 등 농업기술개발에 집중한다. 또 식품 기업과 바이오 기업 등도 참여해 유통과 소비를 연결하도록 했다”며 “스마트팜 농가와 청년농업인 등 이해관계자들과 여러 차례 간담회를 했고, 일반 농업인 단체와도 최근 이야기를 나누기 시작했다”고 답변했다.
한편, 전농연은 전국 단위로 이 사업에 반대하고 있으며, 경기도연맹은 이날 경기도와 도의회에 항의서를 전달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