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9월 평양서 개최” 고위급회담 공동보도문 합의… 구체적인 일정은 협의

남북은 9월 안에 남북정상회담을 평양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남북은 13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고위급회담을 열고 이런 내용의 3차 정상회담 관련 사항을 담은 공동보도문에 합의했다.

 

남북은 보도문에서 “회담에서 쌍방은 판문점선언의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가기 위한 문제들을 진지하게 협의했다”면서 “회담에서는 또한 일정에 올라 있는 남북정상회담을 9월 안에 평양에서 가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남한 정상의 평양 방문은 2000년 6월 김대중 전 대통령, 2007년 10월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3번째로 11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4월 27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 5월 26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 이어 김정은 위원장과 평양에서 다시 만나게 됐다.

 

그러나 당초 기대됐던 구체적인 일정 합의는 이루지 못했다. 남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회담 종료 뒤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날짜가 잡히지 않은 것과 관련, “초청하는 북측의 입장이 어떤가가 상당히 중요하다”면서 북측의 일정·상황 등을 감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북측이 남측이 제재 눈치를 보지 말고 판문점 선언 이행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라는 압박 차원에서 ‘택일’을 늦춘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고위급회담 북측 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회담 종료 뒤 남측 취재진에게 정상회담 일정에 대해 “날짜 다 돼 있다”고 말해 잠정 합의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지만, 조 장관은 “구체적인 날짜는 여러 가지 좀 더 상황을 보면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번 회담에는 남측에서 조명균 장관과 천해성 통일부 차관,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안문현 국무총리실 심의관이 대표로 나섰다.

 

북측은 리선권 위원장과 박용일 조평통 부위원장, 김윤혁 철도성 부상, 박호영 국토환경보호성 부상, 박명철 민족경제협력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대표단을 꾸렸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