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국비매칭’ 변경… 까다로운 조건 우려 속
1차 26개사 선정… 현재 2차 접수 마감 ‘사업 순항’
인천시가 주관하고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에 중소기업들이 뜨거운 반응을 보이며, 시가 연초 설정한 목표치인 100개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시가 20억원의 예산을 투입, 기업당 총 사업비의 20%(최대 2천만원)를 지원 스마트공장 초기 설립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13일 시에 따르면 1차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대상 기업으로 26개사를 선정, 계약체결을 앞두고 있다. 현재 2차 접수는 마감된 상태이며, 3차 접수도 9월께 시작할 예정이라 올해 인천지역 100여개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도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시는 2016년부터 정부의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과 연계해 산업단지 구조 고도화 촉친 및 인천지역 스마트공장 확산을 위해 자체적으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다만, 올해부터 시의 지원시책이 국비 매칭 방식으로 변경돼 중소기업이 시로부터 지원을 받으려면 ‘국가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에 선정된 기업이어야 한다. 까다로운 조건에도 이번 사업의 1차 대상으로 26개사가 선정됐다.
이는 시가 지난 2년 동안 스마트공장 구축을 직접 지원한 16개사를 훌쩍 넘겨 중소기업의 참여가 늘어나는 추세로 평가된다. 현재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은 인천창조경제혁신센터가 시로부터 위탁받아 진행 중이다.
올해부터 시는 스마트공장 교육 및 진단컨설팅도 시행하고 있다. 시로부터 교육 협약 및 위탁을 받은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TP)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프로그램 참여자 10명 중 9명은 스마트공장 교육 및 진단 컬설팅에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TP 관계자는 “올해 실시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이 기업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며 “내년도 예산을 추가 확보하고,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해 중소기업들의 스마트공장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지역에 스마트공장 도입이 필요한 기계ㆍ금속 및 전기전자업종이 전체 업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며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덜어주기 위해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