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유족 초청 오찬… “독립운동은 대한민국 있게 한 힘이자 정신”
문 대통령은 14일 “내년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정부는 북한과 공동사업으로 안중근 의사의 유해 발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광복절을 하루 앞두고 청와대에서 주최한 독립유공자·유족 초청 오찬에서 “독립운동은 오늘 대한민국을 있게 한 힘이자 정신”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안중근 의사가 여순감옥에서 저술한 ‘동양평화론’에서는 동양평화를 위한 일본의 역할을 강조했고 한·중·일이 공동으로 은행과 군대를 창설하자는 시대를 앞선 비전을 제시하기도 했다”며 “자유와 평화를 향한 안중근 의사의 위대한 정신과 발자취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일본 미야기 현에는 여순감옥의 간수 지바 도시치가 모신 안 의사 영정이 있고 동양평화론을 연구하는 일본 학자들도 있다. 중국 하얼빈에도 안 의사의 기념관·동상이 있다”며 “그러나 우리는 여태까지 안 의사 유해조차 찾지 못했고 김구 선생이 효창공원에 마련한 가묘는 여전히 비어 있다.‘해방이 되거든 고국으로 반장해 달라’는 안 의사의 마지막 유언을 지키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립유공자와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잇따라 만난 것과 관련 문 대통령이 과거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독립유공자와의 오찬 인사말에서 “독립운동으로 나라를 찾고 임시정부로 대한민국의 법통을 세운 자랑스러운 조국의 역사는 이 자리에 계신 여러분이 만든 것”이라며 한국 정부가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보수진영을 중심으로 1948년 정부수립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지만, 문 대통령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일을 건국일로 봐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한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일) 양국 간 외교적 해법으로 해결될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우리 자신과 일본을 포함, 전세계가 성폭력과 여성의 인권 문제를 깊이 반성하고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굳은 각성과 교훈으로 삼을 때 해결될 문제”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할머니들은 자신의 고통과 아픔을 승화시켜 인권과 평화를 실천하고 계신다”며 “우리는 아픈 상처를 넘어 세계 여성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실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진실을 외면했던 역사를 바로잡고 정의를 세우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계속되는 폭염으로 채소류와 축산물 등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한 것과 관련해 “관계 부처는 장바구니 물가 동향을 관리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주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농축수산물 가격은 국민 밥상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외식 물가에도 영향을 준다”며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세가 추석 물가로까지 이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있다”고 지적했다.
강해인ㆍ이선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