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취임해 임기 4년 중 절반을 마친 조동성 국립인천대학교 총장이 중간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20일 인천대 교수회, 노동조합, 전국대학노조 인천대지부에 따르면 인천대 전임교원 66.9%, 직원 73%, 조교 84.8%가 참여한 조 총장의 정책, 공약이행도, 직무수행능력을 중간평가 결과 5점 만점에 2.73점으로 나타났다.
총장의 정책평가에서는 교육 및 인재육성에 관한 8개 세부 정책, 연구에 관한 4개 세부 정책, 대학운영에 관한 5개 세부정책에 대한 평가가 이뤄졌다. 그 결과 5점 만점에 2.56점으로 17개 세부정책 모두가 2점대에 머물렀다.
특히 조 총장이 취임 초기부터 역점사업으로 꼽아온 대학 속 기업, 매트릭스 칼리지 프로그램은 긍정적 답변이 11.8%, 부정적 답변이 62.1%로 부정적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 미래 융합학부 신설 추진 역시 긍정적인 평가보다 부정적 평가가 약 45%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90분 수업과 자기 설계 및 진로설계 과목 운영에 대한 평가 2가지만 긍정적 평가가 부정적 평가를 앞섰지만, 이 역시 각각 2%p, 5%p 차이에 불과했다.
전임교원은 7가지 분야 27개 세부항목으로, 직원 및 조교는 4가지 분야 11개 세부항목으로 나눠 응답한 공약 이행도에서는 5점 만점에 2.76점을 받았다.
법인대학다운 재정확충이나 산학협력단 연구기금 확충 등 재정 및 예산분야 공약 이행도 분야에서는 모두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에 비해 평균 30%p 높게 나타났다. 조 총장이 총장 도전 당시 ‘검증된 펀드 전문가’를 핵심 구호로 내세웠던 데 비해 구성원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평이다.
반면 섬세한 학생지도와 취업역량 강화 등 교육분야 공약 이행도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마지막으로 총장의 직무수행능력에 대한 평가에서는 5점 만점에 2.87점을 받았다. 인천대 구성원들은 총장 직무수행에서 소통하지 않는 태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구성원의 의견 수렴 및 반영을 통한 대학 운영에 대한 평가 결과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보다 약 20%p 앞섰고, 교원의 처우와 복지 개선에서도 부정적 평가가 약 14%p 앞섰다.
눈에 띄는 것은 적절한 보직자 임명 분야였다.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보다 약 19%p가량 높게 나타난 이 항목에 대해 다수 구성원들이 서술 답변을 통해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팀장급에 임용될 수 있는 3급 이상 직원들을 통상 계약직이나 7급 직원이 담당하는 무보직 직원 자리에 임명하고, 대학에서 정년 퇴임 3개월을 앞두고 있던 간부가 퇴직과 동시에 인천대 유관 법인 고위직으로 발령된 점 등을 인사 전횡으로 지적했다.
인천대 측은 “조 총장 취임 이후 자리별로 정해져 있던 급수를 폐지했고, 인사는 총장 권한”이라며 “팀장직은 국립대학이라 팀을 무조건 늘릴 수 없어 늘 자리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했다.
그러나 일부 부서는 팀장을 별도 임명하지 않고, 직원을 팀장 대리로 임명한 상태였다.
중간평가를 시행한 측에서는 “총장의 소통 부족 문제는 우려할만한 수준이고, 이번 결과는 소통 부족이라는 근본적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며 “이번 평가를 통해 임무 수행의 부족한 면을 인식하고 역할 수행을 촉진해 줄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을 마련하길 기대한다”고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