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송도워터프런트 조성사업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인천시 지방재정투자심사위원회에서 제동이 걸린 1-2공구 사업에 대한 경제성 확보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사업 추진의 성패를 가를 전망이다.
김진용 인천경제청장은 20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송도워터프런트 1-1공구 이외 구간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다시 한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은 1-2공구 5.73㎞를 포함한 전 구간이며, 앞서 워터프런트사업 전체 타당성 조사를 맡았던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 담당한다.
심의위는 최근 송도워터프런트 사업 전체를 부적정으로 결정했지만, 1-1공구 사업은 해수방재 성격을 고려해 방재부서의 의견을 들은 후 우선 착공하는 것으로 조건부 승인했다. 그러나 워터프런트 사업이 애초 계획대로 추진되지 못한 점을 두고 송도국제도시 주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자 경제청은 여러 차례에 걸쳐 ‘원안 추진’ 의사를 표명했다. 이날 기자회견 역시 김진용 청장이 직접 워터프런트사업 정상 추진의지를 밝히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1-2공구 사업의 경제성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비용대비편익(B/C) 산출 결과 0.739로 경제성을 인정받는 수치인 1에 미치지 못한 가운데 같은 기관이 다시 타당성을 조사에 나서기 때문에 경제청이 원하는 결과가 나올 가능성은 그리 크지 않다.
그럼에도, 경제청은 애초 계획대로 차질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워터프런트사업으로 주변 수질과 경관이 크게 개선돼 사업대상지 상업부지 매각에 긍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며 드러나지 않은 사업성이 높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김 청장은 “경제청의 사업은 인천시 일반회계가 아닌 특별회계로 집행돼 일부의 우려처럼 인천시 재정난을 가중시키는 사업이 아니다”며 “1-2공구 경제성 향상방안을 마련해 심의위 위원들을 설득하겠다. 수상레저선박 운항에 대해서도 필요성과 수익성을 충분히 검토해 민간사업자를 공모해 사업을 원안대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심의위가 송도워터프런트 사업 조건부 승인한 것을 두고 송도주민들은 청와대 국민청원을 제기하고 송도 곳곳에 인천시 규탄 현수막을 게시하는 등 집단 반발에 나서고 있다.
양광범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