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출생아수 35만명대로 추락…합계출산율 1.05명으로 사상 최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기가 35만 명대로 추락하면서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1.05명을 기록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년 출생통계(확정)’를 보면 작년 출생아 수는 35만 7천800명으로 전년 40만 6천200명보다 4만 8천500명(11.9%) 감소해 1970년 통계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저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감소폭도 2001년(-12.5%) 이후 1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떨어졌다. 역시 전년 1.17명보다 0.12명(10.2%) 급감해 사상 최저 수준이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을 크게 밑도는 것은 물론, 압도적인 꼴찌다. 인구 1천 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도 7.0명으로 전년보다 0.9명(11.4%) 줄었다.

 

여성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4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1천 명당 출생아(97.7명)가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떨어졌다.

 

평균 출산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65.8%로 전년보다 2.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3년 사이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23.5%로 1.2%포인트 증가했다.

 

경기도의 경우 지난해 출생아수는 9만 4천 명으로 전년도(10만 5천600명)보다 10.9% 감소했다. 합계출산율은 1.07명으로 전국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며 평균 출산연령은 32.71세를 기록했다. 첫 아이 출생 전까지 결혼 생활 기간이 2~3년인 구성비는 25.1%로 전국 시·도 중 서울(27.6%) 다음으로 높았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