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공공 빅데이터가 정부의 국민생활·지방행정 과제 해결에 본격적으로 활용된다.
행정안전부는 용인시, 남양주시, 부천시, 화성시, 경상남도, 제주특별자치도 등 11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7개 분야 10종의 공공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을 올해 말까지 개발할 예정이라고 23일 밝혔다.
구체적인 추진 내용은 우선 데이터 기반의 주차난 완화 방안이다. 주차 수요·공급의 정량 파악을 통한 주차장 신설 최적 입지 및 주차공간의 효율적 활용 방안을 도출한다. 쓰레기 감소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부천시, 용인시)도 추진한다. 지자체별 생활·산업 쓰레기 수거 및 처리 현황 분석, 생활·산업 쓰레기 배출 패턴분석 및 거주 생활 반경 내 정량 지표 활용을 통한 쓰레기 배출 중점관리 방안 및 배출량 예측 관리 방안을 수립한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생활인구 분석은 주소 기반의 인구통계 집계방식에서 벗어나 생활인구와 공간적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현실성 있는 행정 서비스 수요 파악 및 관광정책 수립에 반영한다. 또 보육서비스 강화를 위해 빅데이터(화성시, 달성군)를 활용한다. 보육 서비스 사각지대 분석을 통한 국공립 어린이집 최적입지 선정은 물론, 시간 연장형·시간제 등 보육시설별 맞춤형 보육 서비스 프로그램 최적화 방안을 수립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구축 및 확산을 통한 국민생활·지방행정과제 해결방안 마련으로 행정 효율성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