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인천 의원, ‘BMW 화재’ 공청회서 한 목소리로 피해 구제 촉구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위원장 박순자)가 28일 ‘BMW 차량 화재 사고’ 관련 공청회를 개최한 가운데, 여야 경기·인천 의원들은 차량 화재 원인 점검과 대책 마련을 한목소리로 촉구했다.

 

특히 이날 공청회에서는 BMW 사고에 대한 미흡한 조치, BMW사의 결함 은폐 의혹, 국토부와 환경부 등 부처 간 협업 실패 등을 놓고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졌다.

 

더불어민주당 김영진 의원(수원병)은 “바이패스 밸브는 냉각수 50도 이하에서만 열리게 돼있지만, 훨씬 높은 90도에서도 열려 500도와 700도 배기가스 유입이 확인됐다”면서 “BMW는 이런 사실을 알면서도 은폐하고, 소프트웨어상에서 조작한 것이 아닌지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같은당 김철민 의원(안산 상록을)은 “환경부로 부터 ‘최근 3년간 BMW사의 리콜 현황’을 살펴보니 ‘배출가스 재순환장치(EGR)’ 관련해서는 올해 3월에서야 리콜 계획서를 제출했다”며 “영국에서 이뤄진 리콜이 2년 뒤에야 국내에서 실시된 것은 결함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묵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야권에서도 BMW사와 국토부를 향해 빠른 리콜과 화재 원인의 철저한 규명을 주문했다.

 

자유한국당 홍철호 의원(김포을)은 “리콜 부품 수급이 되더라도 61개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10만 6천대의 부품교체를 올해 안까지 완료하긴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많기 때문에 별도의 리콜협력업체를 선정해서 단시간 내에 조속히 리콜을 진행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같은당 송석준 의원(이천)은 BMW코리아가 실시한 긴급 안전진단을 받은 차량에서 또 다른 화재가 발생한 것을 지적하며 “여러 전문가들에 따르면, 기계적 결함의 가능성, 흡기다기관의 가연성 소재 활용 등에 대한 문제가 있다”고 일갈했다.

 

민경욱 의원(인천 연수을) 역시 “BMW 화재는 2015년 11월부터 문제가 됐다”면서 “국토교통부가 원인을 규명을 했으면 오늘날의 사태는 없었을 것이다. 반성해야 한다”고 직격타를 날렸다.

 

한국당 박순자 위원장(안산 단원을)은 “국토교통부는 관리감독 소홀과 늦장 대처로 인해 국민불안과 의혹을 증폭시킨 책임이 있다”며 “국토부와 환경부, 산자부, 소방청의 협업이 이뤄지지 않은 점도 큰 문제다”고 지적했다.

 

박 위원장은 이어 “국토교통부는 안전진단을 완료하지 못한 차량에 대해 빠른 시간내 진단을 완료해 달라”면서 “원인규명과 수입차의 고의적 은폐여부 등 모든 조사를 올해 말까지 완료해 한 점 의혹 없이 공개함으로써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게 해달라”고 당부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