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항공노선 확대 위한 인천시 정책 뒷받침 필요

인천국제공항의 중장기적 항공노선 확대방향 수립과 공항 접근 교통개선 방안 등 인천공항 항공분야 현안에 인천시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최정철 인하대학교 융합기술경영학부 교수는 29일 열린 해양항공분야 주민참여 예산정책 토론회에서 “인천시는 1억원 이상의 예산을 확보해 인천공항 신규 항공노선 개설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항공노선 수립이 정부나 인천국제공항공사 소관이라고 손을 놓고 바라만 볼 것이 아니라, 자체 조례제정을 통해 항공노선 적자 보전 등 지자체가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게 최 교수의 주장이다.

 

최 교수는 “항공노선을 처음 개설하면 1~2년간 적자를 감수해야 하는데, 그 비용을 인천시가 부담하는 적극적인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며 “부산시는 이 같은 조례를 제정해 노선 운영 일부를 부담하고 있으며, 인천에서도 과거 송영길 시장 시절인 2012년 조례 제정으로 신규 항공노선 운영을 지원하자는 논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최 교수는 문재인 정부의 신 북방 정책에 따른 러시아·중앙아시아·몽골 등의 신규 항공노선 검토, 신 남방 정책에 따른 동남아·인도지역 항공노선 검토 등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남ㆍ북한 항공노선 개설을 위한 정책이 심도있게 검토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또 지난해 세계 4위(292만t)를 기록한 인천공항 항공화물 운송 증대를 위한 인천시의 표준화된 항공물류창고 임대사업 참여, 항공정비산업(MRO) 추진을 위한 인천시의 부품정비 임대용 공장·아파트형 공장 조성 참여 등 보다 적극적인 사업 추진을 위한 예산 반영을 요구했다.

 

최 교수는 “인천항 발전을 위한 인천항발전협의회가 운영되는 것처럼, 인천공항 역시 업계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인천국제공항발전협의회를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