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무상교복 지원사업이 지급 방식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현물(교복)지급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교육감은 29일 도의회 교육행정질문 답변에서 “무상교복은 두 가지 전제가 있다. 교육 값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과 지역 중소기업 활성화 방안이다”며 “기본적으로 현물로 지급하는 게 옳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 교육감은 바우처 지급에 대해서는 “사용한계를 지정하면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면서 “바우처 운용은 하나의 대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앞서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지난달 4일 출입기자 오찬간담회에서 “무상교복은 (다른 무상복지제도와 달리) 지역화폐로 하지 않을 것”이라며 “도의회가 현물로 지급한다는데 좋은 것 같다.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기업의 협동조합에 생산권한을 주는 방안도 있다”고 현물 지급 지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소관 상임위원회인 도의회 제2교육위원회는 지난 22∼24일 31개 시ㆍ군별로 초·중학교 1곳씩을 선정해 초등학교 6학년생과 중학교 3학년생, 학부모 등 2만여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현물-현금 선호도 조사를 벌였다. 도의회는 조사 결과를 조례안 심의에 참고할 계획이다.
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