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인천만의 장점 살린 추진 방안 모색”
인천시가 2021년까지 5개년 사업으로 추진하려던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사업’이 2년째 국비 확보에 실패하면서 무산 위기에 놓였다.
시가 국비만 바라볼 것이 아니라, 인천경제자유구역 등 인천의 장점을 활용해 자체적인 자동차 전장사업 육성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일 시에 따르면 4차 산업의 핵심 중 하나인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을 통해 급변하는 자동차산업 대응하고자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은 오는 2021년까지 180억원(국비 100억원·시비 60억원·민간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역 전장(전기·전자)기업 연구개발(R&D)을 지원,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매출 1천800억원, 고용 1천400명의 효과를 기대했던 사업이다.
앞서 시는 정부가 자체 예산을 투입한 후 사업성을 따져 국비 지원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견해에 따라 올해 시비 예산 7억원을 세웠고 2019년 국비 확보를 위해 수차례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 부처를 찾아가 요청했지만, 수도권 투자 배제 등을 이유로 뒷순위로 밀리면서 또다시 국비 확보에 실패했다.
사실상 지역 자동차 부품기업 중 전장부품 희망 기업을 지원·육성하겠다는 시의 계획은 무산된 상태이다.
시는 내년에도 자체 예산을 세워 사업의 명목만이라도 이어가겠다는 처지이지만, 5개년 사업 중 2년 연속 국비를 확보하지 못해 정상 추진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GM 사태를 겪은 인천지역 자동차 산업이 구조조정을 통한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공감대에도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우려된다.
인천은 700여 곳의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제조업체와 2만4천436명(2015년 기준)의 자동차산업종사자가 밀집해 있고 자동차산업은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적으로 인천지역 전체 제조업 고용의 12.2%, 부가가치생산액의 12.6%를 차지하는 주력사업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의 부품을 한국 GM 등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면서 미래자동차 산업으로 주목받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전장부품 등 4차 산업과 직결된 첨단산업의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첨단자동차 전장부품기업 육성을 위한 시의 자체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대목이다.
시 관계자는 “첨단자동차 전장부품 사업이 정부가 지자체에 예산을 내려 주는 방식으로 추진되기보다는 정부가 직접 기업에 예산을 주는 방식을 선호하다 보니 국비 확보가 또 어려워진 것 같다”면서도 “자동차 전장산업도 송도의 바이오 사업이나, 청라의 드론사업처럼 인천만의 장점을 살려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