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는 6일 환경정책 벤치마킹을 위해 수원을 찾은 7개 국의 환경수자원 정책 관계자들에게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을 소개했다.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은 사람ㆍ물ㆍ자연이 함께하는 안전한 물 순환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 전반에 자연 상태에 가까운 물순환 구조를 만드는 정책이다.
이날 참여한 7개 국(미얀마ㆍ인도네시아ㆍ필리핀ㆍ몽골ㆍ우즈베키스탄ㆍ키르기스스탄ㆍ알제리)의 환경수자원 정책 공무원 14명은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이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물관리 과정’ 참가자들이다.
박두현 수원시 환경정책과장은 참가자들에게 ‘스마트 레인시티 수원’을 중심으로 수원시의 환경정책과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비전을 설명했다. 참가자들은 수원시청ㆍ수원월드컵경기장 일원에 설치된 빗물 저류조(저장고)와 주유기 모양 빗물 공급장치(Rain Bank), 빗물이 땅으로 스며드는 투수(透水) 블럭 등을 둘러봤다.
백운석 수원시 제2부시장은 “수원시 레인시티 정책을 벤치마킹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면서 “환경수도 수원에 걸맞은 환경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3월29일에는 콜롬비아ㆍ파라과이ㆍ볼리비아 등 중남미 3개 국의 13명 환경정책 관계자가 수원시를 찾아 빗물 재활용 정책을 벤치마킹한 바 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