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GDP 대비 집값 사상 최고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도 집값이 잡히지 않으면서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전체 주택 시가총액 배율이 사상 최고로 치솟았다.

 

9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주택 시세의 합인 주택 시가총액은 4천22조 4천69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7.6% 늘었다. 작년 명목 GDP는 같은 기간 5.4% 증가한 1천730조 3천985억 원이었다.

 

GDP보다 주택 시가총액이 더 빠른 속도로 불어나며 GDP 대비 주택 시가총액은 2.32배로 전년의 2.28배보다 확대했다. 이는 한은이 주택 시가총액 자료를 작성한 1995년 이래 최고치다.

 

GDP 대비 주택 시가총액 배율은 경제 성장세와 견줘 주택시장이 얼마나 활성화했는지 나타내는 지표로, 이 배율이 상승한 것은 경기보다 주택시장이 상대적으로 호조를 보였다는 의미다.

 

2001년 1.53배이던 배율은 부동산시장 호황과 함께 2007년 2.26배로 확대했다 2013년 부동산 경기가 주춤하며 2.22배로 내려갔다. 이후 ‘빚내서 집 사라’는 정부 정책과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가 맞물리며 부동산시장으로 자금이 몰려들어 GDP 대비 주택 시가총액 배율은 2014년 2.24배, 2016년 2.28배로 커졌다.

 

집값 상승으로 서민 실수요자가 피해를 본다고 판단한 문재인 정부는 투기 과열지구를 부활시키는 등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를 내놨으나 지난해 주택 시가총액의 전년 대비 증가율이 2007년(13.6%)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도심 등 주요 지역의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 컸다.

 

이와 관련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초 주택 공급 확대와 종합부동산세 강화 등을 담은 부동산 대책을 발표할 계획이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