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는 9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진자가 국내에서 발생한 것과 관련해 “선제적으로 약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미리미리 대처를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 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메르스 긴급 관계장관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지금 초기대응을 잘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또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른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총리는 “우리는 2015년에 메르스를 이미 겪어서, 의료진이나 정부 당국이나 국민들 모두 큰 트라우마처럼 그때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면서 “38명이나 되는 사망자를 냈다는 결과 못지않게 그 과정 또한 많은 아픈 경험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응은 더뎌서 국민들 분통을 야기했고, 게다가 환자가 다녀갔거나 입원한 병원도 공개하지 않을 정도로 불투명하게 관리해서 국민들의 걱정을 증폭시켰다”면서 “그때의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서 이제는 초동 대응을 제대로 하고, 모든 일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해서 피해자가 한 분도 나오지 않고, 국민들께서 걱정을 덜하도록 최선을 다 해야겠다”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초기대응은 비교적 잘 되고 있다고 판단한다”면서도 “그러나 혹시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일이 있을지도 모른다. 더욱 더 세밀하게 점검하고 지금 격리돼 있는 22분과 그 가족들, 우리가 모르는 22분과 접촉했던 분들의 협조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 총리는 “흔히 당국은 날마다 기자회견을 하면 모든 것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면서 “메르스에 대해서는 많은 국민들께서 필요 이상이라고 할 만큼의 불안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억측과 또는 과장된 걱정도 가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렇기 때문에 모든 상황에 대비한 설명을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해줘야 한다”며 “당국의 홈페이지든, 온라인이든 (설명) 해달라. 그래야만 국민들이 덜 불안해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