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인천시 ‘빅데이터 市政’… 교통·안전망 강화 방점

市·한국과학기술연구원 ‘착수회의’ 개최
풍수해·교통문제·지진·감염병 4대 분야
주민밀착형 빅데이터 분석 모델 구축

2020년까지 인천 시민 생활과 안전 문제를 분석한 빅데이터 모델이 구축된다.

 

인천시는 13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I)과 데이터 기반 시민 생활·안전문제 해결사업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 회의에서 두 기관은 2020년까지 풍수해, 교통문제, 지진, 감염병 등 4대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모델을 구축키로 했다. 이를 통해 시는 4개 분야의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는 입장이다.

 

풍수해와 관련, 시는 기상 예측 정보 등을 분석해 침수 예상 지역을 예측하고 인프라를 보완할 계획이다.

 

교통 분야에 대해서는 교통 인프라와 교통량 등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 버스노선 개선과 교통 혼잡 예측을 강화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지진과 감염병에 대해서도 노후 건축물 현황과 모기 발생 등의 정보를 분석해 피해 예측과 대응방안을 마련한다.

 

특히 두 기관은 풍수해 예측과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 (가칭) 仁生연구소(인천생활연구소)를 연말부터 운영한다. 이 연구소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을 생활 영역에 접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일종의 리빙랩이다.

 

이와 함께 시는 예측되는 피해 정도와 관련 데이터를 3차원 도시 가상환경에 반영해 시민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시는 지난 7월부터 KISTI와 TF를 구성해 검토 중인 데이터 기반 행정 추진계획(안)의 내용을 공유했다.

 

이 계획안에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통한 데이터 인프라 확충,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 개선, 다른 지자체의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는 따라잡기 전략 사업 추진,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인 사업별 계획과 추진 일정은 관계기관의 협의와 의회 예산 심의를 거쳐 연말에 확정할 예정이다.

 

박준하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박남춘 인천시장은 모든 행정은 통계와 데이터에 의해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과정과 결과는 시민에게 공유한다는 데이터 기반 행정에 대한 철학을 가지고 있다”며 “이번 회의는 인천시에서 데이터 기반 행정이 본격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