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어련 ‘어린이집 관리시스템’ 갈등 새국면

운영비 지원 법인·단체 사용 자율 등
道, 3개 절충안 제시 양측 입장 교환
어린이집측 2차 집단행동 전격취소
소통 통해 이견 해소 ‘공감대’ 형성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경기도가 ‘예산 투명화’를 위해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을 도입한 것과 관련, 어린이집 측의 집단행동까지 빚어진(본보 9월12일자 7면) 가운데 양측의 갈등이 소강 국면에 접어들었다. 도의 3가지 협상카드를 어린이집 측이 일부 수용, 차후 진행 상황을 지켜보기로 했기 때문이다.

 

도는 13일 경기도어린이집연합회(이하 경어련) 등 어린이집 측에 ▲운영비를 지원받는 법인ㆍ단체 어린이집의 관리시스템 사용 자율화 ▲어린이집 관리시스템 설명회 일정 연기(14일에서 20일로) ▲관련 TF 구성 및 월 1회 간담회 실시(필요시 수시로) 등을 제안했다.

 

도의 협상안은 어린이집 측이 지난 11일 도청 앞에서 대규모(1천여 명 참석) 반대 집회를 열었기 때문에 준비됐다. 어린이집 측은 집회 이후 14일 3천 명 규모의 2차 집회를 예고하기도 했다. 이에 지난 12일 김희겸 행정1부지사, 진용복 도의원(여성가족교육협력위원회), 김경숙 경어련 회장 등은 3자 대면을 갖고 관리시스템 도입에 대한 입장을 교환했다.

 

당시 경어련 측은 관리시스템의 의무사용 대상 어린이집(국공립, 시ㆍ군, 일부 법인ㆍ단체)을 자율화하라고 요구했다. 또 시ㆍ군 보육담당 부서장, 국공립 어린이집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회계시스템 설명회 실시를 보류하고 협의체로서 TF 및 상시 소통채널 마련 등도 주문했다.

 

이날 도의 제안을 전달받은 경어련 측은 ‘일부 수용’ 입장을 표명했다. 관리시스템 의무사용 대상이 자신의 요구 사항과 어긋났고 TF 구성 관련 일부 요소에 수긍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다만 도와의 대화 국면에 따라 경어련 측은 14일 집회를 취소하기로 했다.

 

김경숙 경어련 회장은 “도가 제시한 중재안 중 일부를 수용했다”라며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이 문제를 풀어나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을 추진하겠다는 기존 도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라며 “다만 TF를 구성하기로 만큼 관련 사안에 대해 어린이집 관계자들과 충분히 소통, 합의점을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도가 이달부터 도입한 어린이집 관리시스템이란 회계 관련 장부 및 자료 전산화, 관청의 예산 모니터링, 모바일 앱을 통한 간소화 등의 기능을 담은 회계 관리 프로그램이다. 의무 도입 대상은 국공립 어린이집, 시ㆍ군 직장 어린이집 등 600여 곳이다. 이외 9천900여 곳의 민간ㆍ가정 어린이집에는 자율 방침이 내려졌다. 도는 이를 통해 예산의 투명한 사용과 전산화를 통한 효율적 관리를 기대하고 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